
최근 대한민국에서 일명 '청년 백수'로 불리는 15~29세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가 12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실업자, '쉬었음' 인구, 취업준비자를 모두 합한 수치로, 1년 전보다 7만 명 이상 증가한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과 이유를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습니다.
1. 경제적 요인
최근 국내 경제는 성장 둔화와 내수 부진, 제조업과 건설업의 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 상황은 기업들의 신규 채용 감소로 이어져 청년층의 취업 기회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2. 일자리 미스매치
고학력 청년층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기대에 부합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많은 청년들이 자신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노동시장을 이탈하거나 구직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3. 비자발적 실업 증가
경기 악화나 기업 구조조정 등으로 인해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청년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4. 단기 근로 증가
어렵게 취업한 청년들 중에서도 주 36시간 미만의 단기 근로를 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청년 취업자 4명 중 1명에 해당하며,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합니다.
5. 구직 단념 증가
구직 활동을 포기하고 '그냥 쉰다'고 응답한 청년층이 50만 4천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취업에 대한 좌절감과 낮은 자존감 등 심리적 요인도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6. 30대 '쉬었음' 인구 증가
30대에서도 '쉬었음' 인구가 31만 6천 명으로 증가하며, 이는 청년층의 고용 문제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는 일자리 미스매치와 양질의 일자리 부족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결론
청년 백수 120만 명 시대는 경제적 요인, 일자리 미스매치, 비자발적 실업 증가, 단기 근로 증가, 구직 단념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직업 교육 및 훈련 강화, 고용 시장 모니터링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한국의 우량기업이 미국으로 많이 넘어갔어요.
대기업 공장 및 하청에 하청까지하면 미국에 뺏긴 일자리는 30만개가 예상되요.
우리 청년들은 국내에서는 이제 지옥의 행군을 해야할 거에요.
최근 몇 년간 한국 기업들이 미국으로 생산 시설을 이전하거나 신규 투자를 확대하면서, 미국 내에서 창출된 일자리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리쇼어링(해외 생산시설의 본국 회귀) 정책과 인센티브 제공,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한국 기업의 미국 내 일자리 창출 현황
- 2010년~2016년: 한국의 직접 투자 등으로 미국에 생겨난 일자리는 연평균 1,546개였습니다.
- 2017년~2020년(트럼프 1기 정부 기간): 연평균 5,207개로 증가하였습니다.
- 2021년~2023년: 연평균 26,602개로 폭증하였습니다.
특히, 2023년에는 한국이 미국 내 외국인 직접투자(FDI)와 리쇼어링을 통해 전체의 14%인 20,36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주요 기업들의 투자 사례
- 삼성전자: 3억 8,000만 달러를 투자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 뉴베리 지역에 세탁기 공장을 건설, 1,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 LG전자: 2억 5,000만 달러를 투자해 테네시주에 세탁기 공장을 건설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리쇼어링 정책 영향
미국 정부는 기업의 법인세 인하, 공장 이전비 지원, 설비투자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리쇼어링을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으로 2016년에는 7만 7,000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겼으며,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총 33만 8,000개의 일자리가 미국으로 돌아왔습니다.
결론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 확대는 미국의 리쇼어링 정책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의 영향으로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내에서 창출된 일자리는 2010년대 초반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한국 기업들의 기여도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웹툰 > 생활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든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이유 (0) | 2025.03.18 |
---|---|
미국 트럼프 관세 전쟁 (4) | 2025.03.17 |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 사태 정리 (1) | 2025.03.16 |
잠을 많이 자도 몸이 회복이 안되는 이유 (0) | 2025.03.10 |
생활툰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후 달라진 위생관리 (0) | 2020.02.03 |